공급사 | |
---|
상품명 | 국내외 신재생에너지와 태양광 발전산업 기술 동향과 시장 전망 |
---|---|
필자 | 이슈퀘스트 편집부 |
출판사 | 이슈퀘스트 |
페이지 | 720쪽 |
출판년도 | 2023년 03월 14일 |
판매가 | ₩396,000원 |
시중가격 | |
적립금 | 19,800원 (5%) |
상품코드 | P0000BNI |
배송방법 | 택배 |
배송비 | ₩2,5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
ISBN | 9788998366612 ( 8998366614 ) |
QR코드 | |
수량 | ![]() ![]() |
SNS 상품홍보 | ![]() ![]() |
---|
![]() |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이 책이 속한 분야
목차
Ⅰ.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시장 실태와 전망 33
1. 탄소중립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원자력발전 시장 33
1-1. 탄소중립과 신재생에너지 33
1) 탄소중립 개요 33
(1) 탄소중립, 기후중립, 넷제로(Net-Zero), RE100, CF100 개념 33
(2) 탄소중립 배경 36
2) 주요국 탄소중립 목표 및 주요 전략 37
(1) EU 37
(2) 미국 39
(3) 중국 43
(4) 일본 45
3)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믹스(MIX) 48
4) 2023년 신재생에너지 관련 글로벌 동향과 이슈 50
(1)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50
(2) 미국, ‘국방물자생산법(DPA)’ 52
(3) EU, 재생에너지 허가 패스트 트랙 53
(4) EU, 에너지 위기 대응 ‘REPowerEU’ 계획 54
(5) EU, 미국 IRA 대응 녹색산업 보호·활성화 계획(안) 56
(6) 세계자원연구소(WRI), 태양광 투자(2030년) 로드맵 58
1-2. 글로벌 원자력발전 시장동향과 전망 60
1) 국내 원자력 발전 동향과 전략 60
(1) 원자력발전의 필요성 60
(2) 국내 원자력발전 현황 64
(3) 원전산업 생태계 복원과 육성 67
(4) 원자력발전 기술개발 동향 72
(5) 원전수출산업화 동향과 전망 74
2) 글로벌 원자력발전 현황과 전략 81
(1) 글로벌 원자력발전 현황 81
(2) 주요국별 원자력발전 추진전략 83
3) 국내외 소형모듈원자로(SMR)개발동향과 전망 87
(1)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동향 87
(2) EU,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계획 91
2.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과 전략 93
2-1.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현황 93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현황 총괄 93
2) 국내 신재생에너지 업종별 현황 94
(1) 제조업 94
(2) 건설업 95
(3) 발전 및 열공급업 96
(4) 서비스업 97
2-2.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98
1)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98
(1) 총괄 98
(2) 생산실적 98
2)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및 설비용량 99
(1) 총괄 99
(2) 발전실적 99
(3) 설비용량 100
2-3. 국내 신재생에너지 관련 주요 정책 동향과 추진전략 101
1) 「탄소중립 녹색성장」 추진전략 101
(1) 추진 배경 101
(2) 비전 및 추진전략 105
(3) 탄소중립·녹색성장 4대 전략 12대 과제 107
(4) 추진체계 및 향후계획 126
2) 제10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주요 내용 129
(1) 개요 129
(2) 기본 방향 129
(3) 전력수요 전망 130
(4) 발전설비 계획 131
(5) 발전원별 정책방향 133
(6) 재생에너지 백업설비 구성 134
(7) 발전량 전망 135
(8) 온실가스 배출목표 달성방안 135
(9) 환경 개선효과 136
(10) 전력계통 확충 137
(11) 전력시장 개선(안) 137
3)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2023∼2027) 139
(1) 개요 139
(2) 목표 및 추진전략 141
(3) 주요 추진 과제 142
(4) 투자계획 145
(5) 추진 일정 146
4) 에너지 환경 변화에 따른 재생에너지 정책 개선방안 147
(1) 재생에너지 정책 현황 147
(2) 재생에너지 정책 평가 148
(3) 재생에너지 정책 방향 152
(4) 재생에너지 정책 과제 153
(5) 추진일정 162
3.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과 주요국 동향 163
3-1.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동향 163
1)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전망 163
(1) 글로벌 동향 163
(2) 국가별 동향 164
(3) 재생에너지원별 동향 168
2)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투자 동향 169
(1) IEA, 2030년까지 청정에너지 투자 2조 달러 이상 증가 전망 169
(2) 글로벌 인프라 펀드(칼라일, 맥쿼리) 재생에너지 사업 투자 170
(3) 중국, 글로벌 재생에너지부문 43% 투자 171
3-2.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산업 및 정책 동향 173
1) 미국 173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173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78
2) 캐나다 181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181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85
3) 독일 187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187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92
4) 영국 196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196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00
5) 스페인 204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04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06
6) 중국 208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08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10
7) 일본 213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13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17
8) 호주 222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22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27
9) 인도 231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31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40
10) 브라질 242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42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48
11) 칠레 249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49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54
Ⅱ. 국내외 태양광 발전산업 밸류체인별 동향과 전망 259
1. 태양전지, 모듈 시장 기술 동향 및 전망 259
1-1. 태양전지 259
1) 태양전지 개요 및 분류 259
(1) 태양전지 정의 259
(2) 태양전지의 작동원리와 종류 259
(3) 태양전지의 중요성 및 의의 261
(4) 태양전지 분류 262
(5) 태양전지 Value-Chain 263
2) 주요 차세대 태양전지 264
(1) 염료감응 태양전지(DSSC) 265
(2)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perovskite solar cell) 266
(3) 유기 태양전지(organic solar cell) 269
(4) 양자점 태양전지(quantum dot solar cell) 270
3) 국내외 태양전지 시장 동향과 전망 272
(1) 세계시장 272
(2) 국내시장 273
4) 국내외 태양전지 R&D 동향 274
(1) 차세대 단일접합 태양전지 274
(2) 초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277
(3) 다기능 태양전지 279
5) 태양전지 기술 및 기업 동향 281
(1) 태양전지 상용화기술 및 활용분야 281
(2) 태양전지 관련 주요 기업 및 산업 동향 284
1-2.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 290
1)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 개요 290
(1)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의 정의 290
(2)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 Value Chain 291
(3)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의 분류 292
2) 국내외 태양광 발전 모듈 시장 동향과 전망 293
(1) 세계시장 293
(2) 국내시장 295
3)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장치 기술개발 동향 297
(1) 모듈 및 장치 기술개발 동향 297
(2) 국내외 기업 기술 동향 300
2. 태양광 발전산업 시장 동향 및 전망 310
2-1. 태양광 발전산업 개요 및 성장요인 310
1) 태양광 발전산업 개념 310
(1) 태양광 발전의 개요 310
(2) 태양광 발전 Value Chain 311
(3) 태양광 발전 특징 312
(4) 태양광 발전 적용 유형 313
2) 태양광산업 성장요인 315
(1) 태양광산업 성장배경 315
(2) 태양광산업 성장 Cycle 316
2-2. 국내외 태양광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317
1) 글로벌 태양광 발전 시장 규모 및 전망 317
(1) 글로벌 태양광발전 시장 규모 및 전망 317
(2)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및 전망 321
(3) 주요국별 지역별 시장 규모 및 전망 324
2) 태양광 밸류체인별 가격 및 공급망 동향 326
(1) 폴리실리콘 326
(2) 웨이퍼 328
(3) 태양전지 및 모듈 330
3) 주요국 수출입 동향 및 해외 주요기업 실적 동향 335
(1) 주요국 수출입 동향 335
(2) 해외 주요 기업 실적 동향 338
4) 국내 태양광산업 동향과 전망 339
(1) 국내 태양광 설치량(보급량) 339
(2) 국내 태양광발전 시장 규모 및 전망 339
(3) 국내 REC 가격 동향 341
(4) 국내 태양광 밸류체인별 수·출입 동향 342
(5) 국내 주요 태양광 기업 실적 동향 345
2-3. 주목되는 BIPV 시장 동향과 전망 346
1)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개요 및 분류 346
(1) BIPV 정의 346
(2) BIPV 필요성 347
(3) BIPV 분류 349
(4) BIPV Value-Chain 350
2) BIPV의 건물 통합 방법 351
(1) 창호일체형 351
(2) 외벽일체형 352
(3) 지붕일체형 353
(4) 루버형 353
(5) 발코니일체형 354
3) 국내외 BIPV 시장 동향 및 전망 355
(1) 세계 시장 355
(2) 국내 시장 356
4) BIPV로 사용되는 태양전지 기술개발 동향 358
(1) 연료감응형 태양전지 358
(2)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360
(3) 유기 태양전지 360
(4) 양면형 태양전지 362
(5) 투광형 태양전지 363
5) 국내외 기업 기술 개발 동향 365
(1) 해외기업 365
(2) 국내기업 368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372
6)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산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377
(1) BIPV 인정 체계 정립 378
(2) 초기시장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강화 380
(3) 고부가가치 기술혁신 지원 382
(4) 설계단계부터 BIPV 적용 확대 385
(5) 추진 일정 386
2-4. 주요국별 태양광발전 시장 동향과 전망 388
1) 유럽 388
(1) 독일 태양광 시장 388
(2) 스페인 태양광 시장 393
(3) 헝가리 태양광 시장 397
(4) 이탈리아 태양광 시장 401
(5) 체코 태양광 시장 404
(6) 폴란드 태양광 시장 410
2) 미주 415
(1) 미국 태양광 시장 415
(2) 멕시코 태양광 시장 427
(3) 아르헨티나 태양광 시장 431
(4) 페루 태양광 시장 435
3) 아시아·중동 438
(1) 중국 태양광 시장 438
(2) 일본 태양광 시장 444
(3) 태국 태양광 시장 449
(4) 필리핀 태양광 시장 457
(5) 인도네시아 태양광 시장 461
(6) 베트남 태양광 시장 465
(7) 사우디아라비아 태양광 시장 469
(8) 아랍에미리트 태양광 시장 473
4) 기타(오세아니아, 아프리카) 477
(1) 호주 태양광 시장 477
(2) 남아프리카공화국 태양광 시장 483
(3) 나이지리아 태양광 시장 486
(4) 케냐 태양광 시장 488
(5) 탄자니아 태양광 시장 491
3. 태양광발전 관련 유망 사업 동향과 전망 494
3-1.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사업화 동향과 전망 494
1) 태양광 설비용량과 폐패널 발생 및 재활용 시장 전망 494
(1) 국내외 태양광 설비용량 현황 494
(2) 국내외 태양광 폐패널 발생량 전망 496
(3) 국내외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시장 전망 499
2)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 동향 502
(1) 기술의 정의 502
(2) 태양광 폐기물 재활용 기술 506
(3) 해외 기술 동향 508
(4) 국내 기술 및 기업 동향 512
3) 국내외 태양광 패널 재활용 투자 동향 523
(1) 해외 주요 태양광 기업, 패널 재활용 투자 강화 523
(2) 국내 R&D 투자 동향 및 주요 R&D 사업 525
4) 국내외 태양광 폐패널관련 정책 동향 528
(1) EU 528
(2) 미국 530
(3) 일본 530
(4) 중국 531
(5) 한국 532
3-2. 가상발전소(VPP) 기술, 시장, 정책 동향과 사업화 전략 538
1) 가상발전소 개요 538
(1) 가상발전소 시장 개요 538
(2) 가상발전소 유형 및 장단점 540
2) 가상발전소 시장 및 정책 동향 542
(1) 국내외 가상발전소 시장규모 및 전망 542
(2) 가상발전소 가치사슬 및 비즈니스 모델 543
(3) 국내외 가상발전소 정책 및 규제현황 545
3) 주요국 가상발전소 사업 사례 및 시장 동향 549
(1) 미국 549
(2) 독일 550
(3) 영국 551
(4) 일본 553
(5) 호주 555
4) V2G(Vehicle to Grid)와 VPP 558
(1) V2G 기술과 VPP 558
(2) 전기차 충전 인프라와 V2G, VPP 563
4. 태양광 관련 기술개발 연구테마 569
4-1. 2023 신규 기술개발 사업 연구테마 569
1) 탠덤 태양전지용 건식기반 페로브스카이트 30MW급 파일럿 양산 핵심 장비 개발 569
2) M10 이상 대면적, 150μm 이하의 박형 결정질/박막 실리콘 이종접합(HJT) 태양전지
및 모듈 양산기술 고도화 (플래그쉽) 572
3) 결정질 실리콘 기반 탠덤 태양전지 적용을 위한 전층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상부셀
및 핵심소재 개발 575
4) 전력피크 분산과 이용률 제고를 위한 동서형 건물 지붕(옥상) 태양광 기술개발 및
실증 578
4-2. 2022 신규 기술개발 사업 연구테마 581
1) 건물형 태양광 모듈 급속차단 기능과 이용률 개선을 위한 모듈단위전력전자(MLPE)
장치개발 및 실증 581
2) 소음저감과 탄소중립을 위한 철도적합 태양광 실증 584
3) 태양광 보급 잠재량 분석모델 고도화 및 개방형 데이터 플랫폼 개발 587
4) 건물 실물모형(mock-up) 기반 통합 성능 평가를 위한 건물형 태양광 실증센터 기반
구축 589
5) 태양광 설치단가와 LCOE 경쟁력 확보를 위한 700W+ 고출력 모듈 산업생태계 강화 595
6) 태양광 설치단가와 LCOE 경쟁력 확보를 위한 700W+고출력 모듈 개발 및 양산성
검증 599
7) 태양광 설치단가와 LCOE 경쟁력 확보를 위한 700W+고출력 모듈용 인버터 개발 및
실증 601
8) 강화된 내화성능 확보를 위한 건물형 태양광 모듈 제품(시스템)표준모델 개발 및
성능 평가 603
9) 저전력 구동 가능한 컬러 변환 BIPV 기술개발 606
10) (신남방)무음영 영농형 태양광발전 설비 개발 및 평가, 해외 실증을 통한 수출 모델
개발 608
11) 친환경 공정 기반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609
12) 초고효율 탠덤(다중접합)용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요소기술 개발 612
13) 고효율 대면적 초경량·유연 무독성 CIGS 박막 태양전지 기술개발 616
14) 산업공정용 열공급을 위한 태양열 융합 열공급시스템 개발 및 스마트 O&M시스템
구축 기술개발 621
15) 태양열(광), 지열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바이오매스(가축분뇨) 고체연료화 모델
개발 및 경제성, 환경성을 위한 선행 조사·연구 623
Ⅲ. 국내외 태양광발전 관련 주요 업체 사업 동향 627
1. 해외 태양광 발전 주요 업체 사업 동향 627
1-1. Tongwei [중국] 627
1) 회사 현황 627
(1) 일반현황 627
(2) 사업현황 628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30
(1) Tongwei, HJT 배터리 효율 최적화로 태양광 기술 혁신 도모 630
(2) Tongwei, 모듈 분야로의 본격적인 진출 631
1-2. GCL Technology (구, GCL-Poly Energy) [중국] 632
1) 회사 현황 632
(1) 일반현황 632
(2) 사업현황 633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34
(1) 보리협흠, 협흠과기로 사명 변경 634
(2) Tongwei, GCL 등 중국 폴리실리콘 증설 현황 635
1-3. Wacker [독일] 637
1) 회사 현황 637
(1) 일반현황 637
(2) 사업현황 637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41
(1) Wacker, 폴리실리콘 공장 현황 641
(2) Wacker, 폴리실리콘 생산 공정 642
(3) 폴리실리콘 非중국계(Wacker, OCI, Hemlock) 3인방의 반격 643
1-4. Daqo New Energy [중국] 645
1) 회사 현황 645
(1) 일반현황 645
(2) 사업 현황 645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48
(1) Daqo New Energy, 2023년 말까지 생산 능력 305,000MT로 확대 648
1-5. Hemlock [미국] 649
1) 회사 현황 649
(1) 일반현황 649
(2) 사업 현황 650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51
(1) Hemlock, 3억 7,500만 달러 규모의 공장 확장 프로젝트 착공 651
(2) Hemlock, 듀폰 TCS 사업부 인수 651
1-6. Longi Group [중국] 652
1) 회사 현황 652
(1) 일반현황 652
(2) 사업 현황 653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55
(1) Longi, 중국 정책 최대 수혜 업체 655
(2) Longi, 태양전지 기술력 656
(3) Longi, 실리콘 태양광 전지 효율 세계 신기록 26.81% 달성 657
(4) Longi, 분산 발전ㆍ지붕형태양광 최적화한 태양광 모듈 출시 658
1-7. Jinko Solar [중국] 659
1) 회사 현황 659
(1) 일반현황 659
(2) 사업현황 659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62
(1) Jinko Solar, LG전자 태양광 美 특허 352건 이전 662
(2) Jinko Solar, ‘타이거 네오’ 패널 시리즈 출품 662
(3) Jinko Solar · Tongwei 태양광 공급망 제휴 강화 663
1-8. First Solar [미국] 664
1) 회사 현황 664
(1) 일반현황 664
(2) 사업현황 664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67
(1) First Solar, 미국 앨라배마주에 11억 달러 투자 667
(2) First Solar, 美·유럽 전방위 점유율 확대 기대 668
1-9. SolarEdge [이스라엘] 670
1) 회사 현황 670
(1) 일반현황 670
(2) 사업현황 671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74
(1) SolarEdge, ESS용 신규 배터리 셀 출하 시작 674
(2) SolarEdge, 가정용 태양광 발전 옵티마이저 시리즈 발표 675
(3) 솔라엣지-코캄, 한국에 연간 2GWh 규모 배터리 셀 공장 설립 676
2. 국내 태양광 발전 주요 업체 사업 동향 677
2-1. OCI(주) 677
1) 회사 현황 677
(1) 일반현황 677
(2) 사업현황 678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82
(1) OCI, 지주사·화학 2개사로 인적분할 추진 682
(2) OCI, 미국 텍사스 주 태양광 모듈 공장 1GW로 증설 683
(3) OCI 말레이시아 공장,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증설 작업 완료 684
(4) OCI, 한화솔루션과 1조 4,500억원 폴리실리콘 장기공급 계약 685
2-2. 한화솔루션(주) 686
1) 회사 현황 686
(1) 일반현황 686
(2) 사업현황 687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691
(1) 한화솔루션, 북미 최대 태양광 공장 프로젝트 시동 691
(2) 한화큐셀, EU 차세대 태양광 ‘탠덤셀’ 양산화 프로젝트 참여 692
(3) 한화솔루션, 태양광 사업 집중을 위해 첨단소재·갤러리아 분할 693
(4) 한화솔루션·GS, 태양광 소재 합작사 설립 694
(5) 한화솔루션·삼성전자, 유럽 ‘태양광 난방’ 사업 공략 695
(6) 한화솔루션, 가상발전소(VPP) 시장 진출 본격화 696
2-3. (주)신성이엔지 697
1) 회사 현황 697
(1) 일반현황 697
(2) 사업현황 697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700
(1) 신성이엔지, 한국농어촌공사와 서천 부사호 EPC협약 체결 700
(2) 신성이엔지·코웨이, RE100 달성 ‘맞손’ 701
(3) 신성이엔지, 엑시콘에 태양광 토털 솔루션 공급 701
(4) 양면·N타입 등 고출력 차세대 태양광 모듈 발표 702
(5) 태양광 셀 라인 매각, 모듈에 집중 703
2-4. 현대에너지솔루션(주) 704
1) 회사 현황 704
(1) 일반현황 704
(2) 사업현황 704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706
(1) 현대에너지솔루션, 태양광 모듈 앞세워 순항 706
(2) 현대에너지솔루션, 전력중개 사업 진출 707
(3) 현대에너지솔루션, 주성엔지니어링과 초고효율 태양광 개발 708
2-5. (주)에스에너지 710
1) 회사 현황 710
(1) 일반현황 710
(2) 사업현황 710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713
(1) 에스에너지, 제주도에 1550억 태양광 발전소 건설 713
(2) 에스에너지, 최첨단 태양광모듈 생산기반 마련 713
2-6. 한솔테크닉스(주) 715
1) 회사 현황 715
(1) 일반현황 715
(2) 사업현황 716
2)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현황과 전략 719
(1) 한솔테크닉스, 탄소인증 고품질 태양광 양면모듈 선도 719
(2) 한솔그룹, KAIST와 공동 연구센터 건립 720
(3) 한솔테크닉스, 아이원스 1,275억에 인수 720
책 속으로
발간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위해 세계 각국은 RE100, 탄소 중립(net-zero)정책 등을 도입하면서 재생에너지 도입 목표를 강화하고 있는 바, 유럽연합은 재생에너지로 2030년까지 순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 55% 줄인다는 목표를 내세웠으며, 미국은 재생에너지에 대한 세액 공제를 담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과시켜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산업의 전례없는 호황을 예고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경쟁 가열 등 글로벌 리스크로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원자재가 상승,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 등이 새롭게 글로벌 경제를 압박하고 있으며, 이에 미국, EU, 중국, 일본 등 선진국은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산업, 특히 태양광과 풍력의 성장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여러 탈탄소 재생에너지 발전 수단 중 가장 기술적으로 진일보하여, 현재 유럽 가정에서 가장 저렴하고 널리 사용되는 재생에너지원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풍력발전 중에서는 해상풍력이 특히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2023년에는 전세계 태양광 발전 설치가 53.4% 성장하여 최대 351 GW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고, 그중 아시아 태평양은 202.5GW를 추가하며 중국이 148.9GW의 신규 설치를 차지하고, 유럽은 68.6GW 증가하는 가운데 독일, 스페인 및 네덜란드가 가장 큰 수요를 차지하며, 미주는 64.6GW로 전년 대비 65.2% 성장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도 2022년 세계에너지전망(World Energy Outlook) 보고서에서 2030년 전 세계 청정에너지 투자는 2조 달러(약 2835조억 원) 이상으로 현재의 1조 3000억달러 보다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태양광 등 분산에너지 보급 확대는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와 ESS를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 통합한 뒤 하나의 발전소처럼 관리하는 가상발전소(VPP) 사업과 같은 에너지 신사업을 등장 시키고 있으며, 글로벌 ESG 패러다임의 강화로 태양광 폐패널 발생에 따른 폐태양광 패널의 회수와 재활용 필요성이 커지면서 신규사업의 기회도 생겨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산업생태계 활성화 방안’과, ‘태양광 폐패널 관리 강화 방안’ 등 태양광 분야 정책들을 연이어 발표하며, 관련산업 시장 확대와 육성 등 지원을 강화하고 있어 국내의 신재생에너지 업계의 사업 추진도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당사에서는 글로벌 탄소중립정책과 원전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특히 태양광발전 관련 밸류체인 전체에 대한 국내외 시장 동향과 기술개발 전망, 정부정책, 태양광발전 관련 유망 사업 동향, 국내외 관련 업체 사업전략 등을 정리, 분석한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모쪼록 신재생에너지와 태양광 발전산업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2023년 3월
회사"는 이용자가 구매신청한 재화 등이 품절 등의 사유로 재화의 인도 또는 용역의 제공을 할 수 없거나 곤란함을 알았을 때에는 지체없이 그 사유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사전에 재화 또는 용역의 대금을 받은 경우에는 대금을 받은 날부터 3영업일 이내에 환급하거나 환급에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단, "회사"가 재화 등의 준비에 대한 소요일을 이용자가
구매신청 전 인지 할 수 있도록 미리 표시한 경우에는 그 사유
발생일로부터 3영업일 이내에 환급하거나 환급에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회사” 오픈마켓을 통해서 구입하신 상품은 구매확정절차 후
“회사”를 통한 환급, 교환, 반품의 요청이 제한되며 판매자와 구매자가 직접 협의해서 처리해야 합니다.
회사”는 합리적인 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구매자가 구매확정절차를 이행치 않는 경우 해당 전자상거래의 계약이행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자동구매확정절차를 이행할 수 있으며
판매자에게 정상적으로 판매대금을 지급하는 등 통신판매 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단, 자동구매확정까지의 합리적인 기간은
개별약관으로 정합니다.
구매자는 제반 법령에 따라 결제대금예치업무(에스크로)의 보호를 “회사”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
반품
또는 교환에 필요한 왕복배송비용 기타 필요한 비용은 귀책사유 있는 쪽에서 부담하며, 배송상의 문제로 구매자가 입은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은
귀책사유 있는 배송업체를 지정한 판매자에게 있습니다.
해외에서 국내로 상품을 배송하는 해외구매대행서비스의 경우 전자상거래
등에서의소비자보호에관한법률에 의하여 반품 및 교환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도서에
대한 특칙]
해외주문도서는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이므로 이용자의 단순한 변심/착오로 인한 취소, 반품, 교환 발생 시
“대신서적센타”는 "해외주문 반품/취소수수료”를 공제한 대금을 이용자에게 환급합니다.
이때 “해외주문 반품/취소수수료”는 판매정가의 20%를 적용합니다. 단, 해외주문시 주문후 취소 불가로 표시되어있는 상품을 주문한 경우에는 반품및 환불 할 수 없다.
.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