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사 | |
---|
상품명 | 3세대 치료제 1-마이데이터 기반 디지털치료제 및 전자약 기술 개요 |
---|---|
필자 | 하연 편집부 |
출판사 | 하연 |
페이지 | 296쪽 210*297 양장본 |
출판년도 | 2022년11월22일 |
판매가 | ₩360,000원 |
시중가격 | |
상품코드 | P0000BNJ |
배송방법 | 택배 |
배송비 | ₩2,5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
ISBN | 9791185497358 ( 1185497358 ) |
QR코드 | |
수량 | ![]() ![]() |
SNS 상품홍보 | ![]() ![]() |
---|
![]() |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제목: 3세대 치료제 1-마이데이터 기반 디지털치료제 및 전자약 기술 개요
목차
제1장 차세대 치료제 기술
1. 차세대 치료제 기술 개요
1-1.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와 전자약(Elecdtroceuticals)의 등장 배경
1-1-1. 비대면 시대 디지털 헬스케어
(1) 미래 의료시스템
(2) 디지털기술
1-1-2. 디지털 헬스케어의 진화
1-1-3. 미래 디지털 헬스의 유형 및 특징
(1) 모바일 헬스(mHealth)
(2) 원격의료(Telehealthcare)
(3) 보건의료분석학(Health analytics)
(4) 디지털 보건의료시스템(Digitised health systems)
1-2. 차세대 치료제 기술 개요
1-2-1. 현대인들의 정신건강
1-2-2,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코로나 블루(Corona Blue) 증가 현상
1-2-3. 정신치료의 한계와 새로운 치료법 부상
1-3. 인간의 뇌와 바이오 일렉트로닉스(Bioelectronics)
1-3-1. 뇌 연구
(1) 뇌과학
가. 뇌신경생물학
나. 뇌신경계질환
다. 뇌인지
(2) 뇌파(腦波) 기술
1-3-2. 바이오 일렉트로닉스(Bioelectronics)
(1) 전기요법
(2)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3) 뉴로피드백(neurofeedbakc)
1-4.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3세대 치료제
1-4-1. 디지털 치료의 등장
1-4-2. 3세대 치료제
1-4-3. 기존 치료제와 디지털치료제 비교
2. 소프트웨어 기반 ‘디지털치료제’와 하드웨어 기반 ‘전자약’의 기술 개념 및 특징
2-1.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기술 개요
2-1-1. 디지털치료제(DTx) 개념
2-1-2. 디지털치료제(DTx) 정의
2-1-3. 디지털치료제(DTx) 특징
2-1-4. 디지털치료제(DTx)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2-2. 전자약(Elecdtroceuticals) 기술 개요
2-2-1. 전자약(Electroceuticals) 개념
2-2-2. 전자약 정의
2-2-3. 전자약 특징
2-2-4. 전자약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2-3.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와 전자약(Elecdtroceuticals) 기술 개요
2-3-1. 디지털치료제와 전자약의 공통점과 차이점
(1) 디지털치료제와 전자약의 공통점
(2) 디지털치료제와 전자약의 차이점
2-3-2. 미래 의료 및 헬스케어를 위한 디지털치료제와 데이터
2-3-3. 차세대 치료제의 임상시험 진행 과정
(1) 개발 단계
(2) 타당성 검증 단계
(3) 임상시험 단계
(4) 상용화 단계
(5) 시판후 관리 단계
제2장 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한 차세대 치료제의 작동 방식
1. 인지데이터와 비인지데이터를 기반으로한 마이데이터
1-1. 마이데이터(MyData) 기술 개요
1-1-1. 마이데이터(MyData) 개념
1-1-2. 마이데이터 등장 배경
(1) 데이터 가치의 급상승
(2) 편협된 데이터 수집과 정보 불균형
(3) 세계 경제의 트렌드 ‘데이터 활용’
(4) 마이데이터 도입으로 인한 다양한 데이터 연계 가능
1-1-3. 마이데이터 특징
1-2. 마이데이터 서비스
1-2-1 마이데이터 접근방식
1-2-2. 마이데이터 향후 전망 및 활성화를 위한 해결 과제
1-3.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지털치료제
1-3-1. 의료 빅데이터 활용
1-3-2. 의료분야 마이데이터
1-3-3. 데이터 기반 디지털치료제
(1) 메타데이터(Metadata) 개념
(2) 디지털치료제와 메타데이터
1-3-4. 인지 및 비인지 마이데이터
1-3-5. 디지털치료제와 마이데이터의 결합
2. 차세대 치료제의 작동 방식
2-1. 디지털 헬스의 변화와 디지털치료제의 목적
2-1-1. 디지털 헬스, 디지털 의료, 디지털 치료기기 차이
(1) 디지털 헬스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2) 디지털 의료(Digital Medicine)
(3) 디지털 방식의 치료 패러다임 디지털 치료기기(Digital Therapeutics)
2-1-2. 디지털치료제의 목적
2-2. 디지털치료제를 구성하는 기술적 측면
2-2-1. SaMD(Software as a Medical Device)
2-2-2. SiMD(Sotware in a Medical Device)
2-3. 디지털 치료법
2-3-1. 의료 제공 방식의 전환
2-3-2. 디지털 치료로 인한 변화
2-4. ‘소프트웨어’ 기반의 디지털치료제
2-5. ‘하드웨어(HW)’ 기반의 전자약(Electroceuticals)
2-6. 디지털치료제의 파급력 및 발전 방향
2-6-1. 디지털치료제의 파급력
2-6-2. 디지털치료제의 발전 방향
참고문헌
그림목차
[그림 1] 디지털 치료 응용 프로그램
[그림 2] 코로나 펜데믹을 기점으로 확대되고 있는 디지털 치료 솔루션
[그림 3] 확장성을 위한 의료 디지털 혁신
[그림 4] 의료 생태계에서 디지털기술과 데이터의 활용성
[그림 5]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 연결
[그림 6] 원격의료 서비스 아키텍처
[그림 7] 의료 형평성을 위한 원격진료
[그림 8] 예측 분석의 주요 용도
[그림 9] 의료데이터 분석 솔루션
[그림 10] 의료데이터 공유 및 원격 백업
[그림 11] 의료 인공지능(AI)의 영역
[그림 12] 디지털 헬스 솔루션
[그림 13] 디지털 헬스 테크놀러지
[그림 14] 헬스케어와 디지털치료제
[그림 15] 악순환을 일으키는 빈곤과 우울증
[그림 16] COVID-19 대유행이 신체 활동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그림 17] 정신건강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
[그림 18] 디지털 헬스 애플리케이션
[그림 19] 인간의 뇌 구조
[그림 20] 뉴런 구조
[그림 21] 신경학적 조절
[그림 22]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그림 23] 뉴로피드백 작동 원리
[그림 24] 디지털 헬스 및 e-Health 영역
[그림 25] 디지털 헬스 테크놀러지(digital health technologies)
[그림 26] 디지털 헬스, 디지털 의료, 디지털 치료기기 차이
[그림 27] 모바일 앱의 DTx 흐름
[그림 28] 디지털치료제의 정의
[그림 29] 디지털 헬스, 디지털 신약, 디지털치료제 비교
[그림 30] 헬스케어 생태계 내 비대면 의료
[그림 31] 디지털치료제의 상호작용
[그림 32] 디지털치료제의 가치 창출
[그림 33] 디지털 치료제 이해 관계자
[그림 34] 치료용 전기자극을 위한 웨어러블 및 이식형 전자장치
[그림 35] 전자약
[그림 36] 생체전자공학(bioelectronics)의 신경 전극
[그림 37] FDA 승인을 받은 전기치료제
[그림 38] 미주신경(Vagus nerve)
[그림 39] 미주신경(Vagus nerve)의 전기자극
[그림 40] 전자약 시스템
[그림 41] 전자약의 응용 분야
[그림 42] 전자약으로 정복 가능한 질병들
[그림 43] PDT(Prescription Digital Therapeutics)의 요소
[그림 44] 헬스케어 서비스 모델의 미래
[그림 45] 의료 및 생명과학을 위한 비정형 데이터 관리
[그림 46] The LIFEcare System
[그림 47] 디지털 통합을 위한 사회 생태학적 모델
[그림 48] 디지털 지원 프레임워크
[그림 49] 디지털 치료를 위한 주요 고려 사항
[그림 50] 디지털치료제 작동방식
[그림 51] 디지털치료제 아키텍처
[그림 52] 디지털 치료를 위한 상호작용
[그림 53] 디지털 치료기기 판단기준
[그림 54] 국가별 DTx에 대한 건강 보험 적용 범위 결정 프로세스
[그림 55] 마이데이터(MyData) 모델 및 역할
[그림 56] 데이터의 가치
[그림 57] 데이터 가치 평가
[그림 58] 데이터 경제 생태계
[그림 59] 새로운 데이터 활용 플랫폼
[그림 60] 데이터의 가치사슬
[그림 61] 데이터 과학 라이프사이클
[그림 62] MyData Business Ecosystem Model
[그림 63] openPDS
[그림 64] 마이데이터 생태계
[그림 65] 마이데이터 서비스 아키텍처
[그림 66] 마이데이터 접근 방식
[그림 67] 마이데이터 동의 관리시스템
[그림 68] 마이데이터 프로토타입(Prototype)
[그림 69] 의료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다이어그램
[그림 70] 의료 마이데이터 플랫폼 개요
[그림 71] 의료분야 마이데이터 도입을 위한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 개요
[그림 72] 메타데이터 모델
[그림 73] 디지털 헬스 솔루션의 진화 방향
[그림 74] 마이데이터 서비스 데이터 흐름
[그림 75] 디지털 헬스의 진화
[그림 76] 디지털 헬스, 디지털 의료, 디지털 치료기기 차이
[그림 77] 디지털 생태계 활성화
[그림 78] 전자 건강 기록
[그림 79] 건강 정보 생태계
[그림 80] 디지털 헬스케어 병원
[그림 81] SaMD의 특징
[그림 8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경로
[그림 83] 디지털 헬스 프레임워크
[그림 84] 디지털치료제와 SaMD
[그림 85] 디지털치료제 생태계에 대한 미래 전망
[그림 86] 디지털 치료학
표목차
[표 1] 3세대 디지털치료제
[표 2] 기존 치료제와 디지털치료제 비교
[표 3] 해외 원격의료 현황 및 전면적인 변화를 주도할 디지털기술
[표 4] 디지털 헬스의 4가지 유형과 특징
[표 5] 뇌 연구 분야
[표 6] 뇌신경 기능
[표 7] 뇌인지 융합기술의 주요 연구분야
[표 8] 뇌파의 장점과 단점
[표 9] 디지털치료제의 목적과 유형
[표 10] 기존 치료제와 디지털치료제 비교
[표 11] 디지털치료제와 기존 신약개발 비교
[표 12] DTx의 주요 이정표
[표 13] 전통적인 치료제와 디지털치료제 비교
[표 14] 디지털치료제의 차별성
[표 15]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와 전자약(Elecdtroceuticals)의 차이점
[표 16] 임상연구
[표 17] 디지털치료제 목적
[표 18] 스크래핑과 표준API 방식의 차이점 및 마이데이터 생태계
[표 19] 금융마이데이터 산업
[표 20] 업권별 주요 마이데이터 서비스 예시
[표 21] 마이데이터 서비스 구성
[표 22] 개인정보 데이터 활용의 명암
[표 23] 의료 빅데이터 활용 강화 분야
[표 24] 의료서비스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치료방식의 변화와 디지털 헬스 생태계
[표 25] 디지털치료제의 범주
[표 26] 디지털치료제 제품군의 분류
[표 27] 의학적 의사결정 영향도에 따른 SaMD 분류
[표 28] SaMD와 SiMD 정의 및 예시
[표 29] 전자약, 의약품, 의료기기의 차이
[표 30] 국내 전자약 관련 기업 현황
[표 31] 주요 디지털 치료기기 개발 현황
회사"는 이용자가 구매신청한 재화 등이 품절 등의 사유로 재화의 인도 또는 용역의 제공을 할 수 없거나 곤란함을 알았을 때에는 지체없이 그 사유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사전에 재화 또는 용역의 대금을 받은 경우에는 대금을 받은 날부터 3영업일 이내에 환급하거나 환급에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단, "회사"가 재화 등의 준비에 대한 소요일을 이용자가
구매신청 전 인지 할 수 있도록 미리 표시한 경우에는 그 사유
발생일로부터 3영업일 이내에 환급하거나 환급에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회사” 오픈마켓을 통해서 구입하신 상품은 구매확정절차 후
“회사”를 통한 환급, 교환, 반품의 요청이 제한되며 판매자와 구매자가 직접 협의해서 처리해야 합니다.
회사”는 합리적인 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구매자가 구매확정절차를 이행치 않는 경우 해당 전자상거래의 계약이행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자동구매확정절차를 이행할 수 있으며
판매자에게 정상적으로 판매대금을 지급하는 등 통신판매 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단, 자동구매확정까지의 합리적인 기간은
개별약관으로 정합니다.
구매자는 제반 법령에 따라 결제대금예치업무(에스크로)의 보호를 “회사”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
반품
또는 교환에 필요한 왕복배송비용 기타 필요한 비용은 귀책사유 있는 쪽에서 부담하며, 배송상의 문제로 구매자가 입은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은
귀책사유 있는 배송업체를 지정한 판매자에게 있습니다.
해외에서 국내로 상품을 배송하는 해외구매대행서비스의 경우 전자상거래
등에서의소비자보호에관한법률에 의하여 반품 및 교환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도서에
대한 특칙]
해외주문도서는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이므로 이용자의 단순한 변심/착오로 인한 취소, 반품, 교환 발생 시
“대신서적센타”는 "해외주문 반품/취소수수료”를 공제한 대금을 이용자에게 환급합니다.
이때 “해외주문 반품/취소수수료”는 판매정가의 20%를 적용합니다. 단, 해외주문시 주문후 취소 불가로 표시되어있는 상품을 주문한 경우에는 반품및 환불 할 수 없다.
.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